※ 이 글은 1989년 "제7회 대학SFC 대표자모임 자료집 - 학생신앙운동 정체성과 방향성 정립을 위한-"에 실린 주제발표문입니다. 김동춘 (경북대 SFC) 1. 들어가며 '학생운동' 이라 했을 때, 사람마다 떠오르는 생각은 제각기 다를 것이다. 캐임브릿지 7인이나 영국의 기독학생운동, 한국 개화기 이후 일제시대에 이르러 민족운동을 주도한 기독학생운동 등의 긍정적인 기독학생운동을 떠올리거나, 일본의 적군파나 영궁의 신좌파운동, 화염병과 폭력이 연상되는 한국의 학생운동 등 부정적인 모습의 학생운동, 그리고 일반 학생운동 중에서 4.19 혁명이나 광주항쟁, 6월 항쟁 등의 긍정적인 모습을 떠올리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이렇게 같은 용어라도 동상이몽을 하게 되는 것은 학생운동의 복합성, 다양성 때문이다. 할..